제품 겉면이 달라지면 성능도 달라진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금속과 플라스틱에 꼭 필요한 마무리 공정들을 함께 살펴볼까요?
🔩 금속 소재의 후처리 공정
✔️ 세척과 표면 정리
금속 가공이 끝난 후 가장 먼저 진행되는 작업은 표면 클리닝입니다. 기름, 금속 가루, 산화물 등 가공 중 생긴 오염을 제거하지 않으면 도금이나 도장 같은 후속 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알칼리성 용액을 이용한 탈지 세척이나 산을 이용해 녹을 제거하는 산세척이 일반적입니다. 때로는 강한 입자를 분사해 물리적으로 오염을 벗겨내는 샷블라스팅도 활용되며, 소재 표면을 고르게 만드는 효과까지 더할 수 있습니다.
✔️ 화학 기반 표면 강화
금속에 기능을 더하고 싶을 땐 화학적 처리를 선택합니다. 철강류에는 인산염 피막 처리가 많이 쓰이며, 이는 도장 전에 밀착력을 높이는 데 탁월합니다. 알루미늄에는 아노다이징이 대표적인데, 표면을 산화시켜 단단하고 부식에 강한 막을 형성합니다. 강철에는 질화 처리로 경도를 높이기도 하죠. 또한 검은색 산화막을 입히는 흑착 처리도 많이 쓰이며, 고급스러운 외관과 일정 수준의 내식 효과를 제공합니다.
✔️ 도금으로 부가 성능 강화
도금은 금속의 내구성과 미적 요소를 모두 챙길 수 있는 후처리 방식입니다. 아연도금은 철의 녹 방지를 위한 가장 보편적인 선택이며, 니켈 도금은 전기 전도성과 마찰 저항을 높이는 데 유리합니다. 고급스러운 외관이 필요한 경우 크롬 도금이 많이 쓰이며, 자동차 부품이나 욕실 제품 등에서 자주 볼 수 있습니다. 도금은 얇지만 견고한 금속층을 입히는 방식으로, 마감 후 제품의 수명이 크게 늘어납니다.
✔️ 색상과 보호를 더하는 도장
제품 외관을 꾸미고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도장 공정이 적용됩니다. 가장 흔히 쓰이는 방식은 분체도장으로, 분말 상태의 페인트를 열로 녹여 표면에 밀착시키는 방식입니다. 습식도장은 보다 정교한 색상 표현이 가능하며, 에폭시 도장은 내화학성이 요구되는 산업 환경에서 쓰입니다. 건축자재, 기계류, 가전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색상 표현과 함께 방수, 방청 기능까지 한 번에 해결할 수 있습니다.
✔️ 기계적 마감으로 외관 완성
기계적 마감은 제품의 첫인상을 결정하는 마지막 손질 단계입니다. 연마(폴리싱)를 통해 표면을 매끄럽게 만들고, 브러싱으로 미세한 선형 질감을 줄 수도 있습니다. 반짝임이 필요할 땐 버핑으로 광택을 극대화하고, 매트한 느낌이 필요할 땐 블라스팅을 이용합니다. 특히 스테인리스나 알루미늄처럼 외부에 노출되는 금속일수록, 이 마감 공정의 차이가 전체 품질을 좌우하게 됩니다.
🧱 비금속(플라스틱) 소재의 후처리 공정
✔️ 접착력 향상의 열쇠, 표면 활성화
일부 플라스틱은 표면이 매우 매끄럽고 반응성이 낮아, 도장이나 접착이 잘 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땐 표면 활성화 처리가 필요합니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방전, 화학 에칭 등이 있으며, 표면 에너지를 높여 후속 공정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주로 PP, PEEK, PTFE, 나일론 등의 고기능성 플라스틱에 적용되며, 미세한 요철을 만들어 물리적 접착력을 높이는 효과도 있습니다.
✔️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는 코팅
플라스틱은 목적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 코팅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스크래치 방지, UV 차단, 전기 절연, 항균 효과 등 기능 중심의 표면 처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우 유연한 공정입니다. 하드코팅은 내마모성이 중요한 제품에 적합하고, UV 코팅은 색상 보존과 광택 유지를 돕습니다. PC, 아크릴, POM 등은 코팅을 통해 산업용 제품부터 소비재까지 다양한 용도로 확장됩니다.
✔️ 컬러 표현과 외관을 위한 도장
플라스틱도 외관을 꾸미는 데 도장 공정이 중요합니다. 분체 도장은 열을 가해 균일한 색상 코팅을 입히는 방식이며, 침지 도장은 대량생산에 유리한 방법으로 활용됩니다. 도장을 통해 색상뿐 아니라 자외선 차단, 방습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어 가전제품, 자동차 내장재, 플라스틱 가구 등에 널리 쓰입니다. ABS, 나일론, 아크릴 등 대부분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서 적용 가능하며, 디자인 요소로도 강력한 무기가 됩니다.
✔️ 정밀 가공 후의 마무리, 광택 처리
가공이 끝난 플라스틱은 마감 단계에서 기계적 연마나 표면 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연마로 미세한 흠집을 제거하고, 브러싱이나 엠보싱으로 표면에 질감을 부여하기도 합니다. 특히 아크릴이나 PC처럼 투명도를 요하는 소재는 연마 후 광택 처리로 그 품질이 결정됩니다. 고급 소비재나 정밀 기기 외장에 적용되며, 손에 닿는 촉감까지 고려한 마감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중요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소재에 따라 달라지는 후처리 공정, 이제 감이 오시나요? 완성도를 높이는 마지막 터치, 현명하게 선택해보세요!
바로발주는 AI를 활용한 자동 견적 서비스💡로,
발주를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도와드리는 온라인 서비스입니다.
하단의 이미지를 클릭하여 도면을 업로드하고 3초만에 견적 및 납기를 확인하세요! 🚀
'바로발주 | 제조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처리 시리즈 #2] 철/강 후처리, 왜 필요하고 어떻게 해야할까? (3) | 2025.07.16 |
---|---|
[실리콘 시리즈 #1] 유연하고 똑똑한 재료, 실리콘을 써야 하는 이유 (10) | 2025.07.09 |
티타늄의 모든 것 (4) | 2025.02.04 |
CNC가공과 플라스틱 사출 성형의 차이 (1) | 2025.02.03 |
산업과 일상에서 빛나는 소재,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탐구 (1) | 2025.01.21 |